자유게시판


[2013’ 10월의 테라와다상가산책] 아주 특별한 동행/ 사사나 스님

관리자
2021-04-24
조회수 697

작성일 : 13-10-21 19:46 

 글쓴이 : usasana  


이른 아침.. 따사로운 가을 햇살

태종사 일주문인 듯.. 

이름 모를 황금빛 열매가 출렁이며 

이미 아주 특별한 날임을 예시한다.


멀리 시선 끝자락에 펼쳐지는 푸른 색.. 

海松 숲 사이로 보일 듯~ 말듯~ 

너 바다인가.. 하늘인가? 


연두빛 잔디밭 

지극한 고요속에 푸~욱 잠기신 사마디 부처님.. 깨우실라 

코스모스 한 떨기 아난다 侍者가 되고... 


뿐냐산또 상가라자 큰 스님 생신법회에 특별한 점심공양을 마치고 

조촐하지만 평온한 마음 지닌 채 상가스님들 법당으로 들어선다. 



▶2013’ 까띠나 가사 상가깜마(Kathina civara sanghakamma)



스님1: 나모-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닷사(3번) 

앗타 코 바가와 에-따스밍 니다-네- 담미까탕 까뜨와 빅쿠 아만떼-시 

아누자-나-미 빅카웨- 왓상 웃타-낭 빅쿠-낭 까티낭 앗타리뚱 

앗타따까티나 낭 오빅카웨 반짜 깝삣산띠

아나-만따짜-로 아사마- 나짜-로 

가나보-자낭 야-와닷타찌-와랑 요- 짜

땃타 찌-와룹빠-도-소- 네-상 바윗사띠

앗타따까티나- 낭 오- 빅카웨- 이마니 빤짜 깝삣산띠.


가사를 받았을 때의 특권에 대해 말하겠습니다.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길: 

“안거를 끝낸 스님들은 까티나 가사를 받도록 하여라. 

그 가사를 받았을 때는 다섯 가지의 특권이 있느니라. 

첫째, 허락을 구하거나 알리지 않고도 마을에 갈 수 있느니라. 

둘째, 세벌의 가사를 지니지 않아도 잠잘 수 있느니라. 

셋째, 혼자든 여럿이든 특별식을 해도 괜찮느니라. 

넷째, 삼의 외에도 여벌의 승복을 지녀도 괜찮느니라. 

다섯째, 때가 아닐지라도 새로운 승복을 지어 입을 수 있느니라.” 

이것이 까티나 가사를 받았을 때 정당화되는 다섯 가지 특권입니다. 


대중스님: 아-깡카-마나 반떼- 원하나이다, 스님~ 


스님2: 나모-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닷사(3번) 

수나-뚜 메- 반떼- 상고-. 이당 상갓사 까티나듯상 웁빤낭. 

야디 상갓사 빳따깔랑, 상고- 이망 까티나 듯상 아-야스마또- 

(0000앗사) 빅쿠노- 다데이야, 까티낭 앗타리뚱. 에-사- 냣띠. 

수나-뚜 메- 반떼- 상고-. 이당 상갓사 까티나듯상 웁빤낭. 

야디 상갓사 빳따깔랑, 상고- 이망 까티나 듯상 아-야스마또- 

(0000앗사) 빅쿠노- 다데이야, 까티낭 앗타리뚱.

얏사-야스마또- 카마띠, 이맛사 까티나듯삿사 아-야스마또- 

(0000앗사) 빅쿠노- 다데이야, 까티낭 앗타리뚱, 소- 뚜느핫사. 

얏사 나 카마띠, 소- 바-세이야.

딘낭 이당 상게-나 까티나듯상 아-야스마또- 

(0000앗사) 빅쿠노-, 까티낭 앗타리뚱. 카마띠 상갓사, 

따스마- 뚜느히-. 에-와메-땅 다-라야-미-. 


존경하는 스님들, 상가Sangha는 저의 말을 들으십시오. 

상가를 위해 이러한 까티나 가사의 재료가 생겼습니다. 

만약 적절하다면 상가는 이 재료를 0000스님에게 주어 가티나 가사를 만들게 하였으면 합니다. 이것이 표백입니다. 


존경하는 스님들, 상가Sangha는 저의 말을 들으십시오. 

상가를 위해 이러한 까티나 가사의 재료가 생겼습니다. 

상가는 이 재료를 까티나 가사를 만들게 하기 위해 0000스님에게 주었습니다. 


만약 적절하다면 침묵하시고, 용인하지 않는 스님은 말씀하십시오.


상가Sangha는 이 까티나 재료를 0000스님에게 주어 가사를 만들었습니다. 

상가는 용인하였고 그래서 침묵한 것입니다. 저는 이렇게 이해합니다. 


대중스님: Sadhu, Sadhu, Sadhu, 사-두, 사-두, 사-두 잘 하셨습니다.(3번) 



▶사미출가의식(SAMANERA PABBAJJA) 


⑴출가허락요청(Pabbajja)


※수계자가 먼저 수계 화상스님에게 함장하여 3배를 올리고 발우를 어깨에 메고 두 손으로 가사를 받들고서 아래 게송을 독송한다. 



에-사항 반떼-, 수찌라 빠리닙부땀삐, 땅 바가완땅 사라낭 갓차미, 

담만짜 빅쿠 상간짜, 

라베이야항 반데-, 땃사 바가와또-, 담마 위나예- 빱밧장(

라베이양 우빠삼빠당)


존경하는 스님, 부처님께서는 비록 완전한 닙바나에 드신지 

오래되었을지라도 그 부처님을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더불어 담마와 비구 상가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존경하는 스님, 저는 그 부처님의 담마와 율에 의지하여 사미로 

출가하기를 원합니다. (출가를 허락하여 주십시오)


두띠얌빠-항 반떼-, ...이하동일

따띠얌빠-항 반떼-, ...이하동일 


※수계자는 발우 위에 가사를 놓고 수계 화상스님에게 3번 절을 한 후, 

가사와 발우를 수계 화상스님에게 건네줍니다. 


※그 다음에 가사를 줄 것을 청합니다. 


아항 반떼- 빱밧장 야-짜-미, 

이마-니 까-사-야-니 왓타-니 가헤-뜨와-, 빱빠제타 망 반떼-,

아누깜빵 우빠-다-야


존경하는 스님, 제가 출가하기를 원합니다. 

이 가사를 입어서 사미로 출가하도록 허락하여 주십시오.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주십시오. 


두띠얌삐 아항 반떼-, ...이하동일

따띠얌삐 아항 반떼-, ...이하동일 


⑵기본 수행법에 대해 설함 


kesa lomma nakha danta taco 

께-사, 로-마, 나카-, 단따-, 따조- 

머리카락, 몸의 털, 손/발톱, 이발, 피부 


※수계 화상스님의 선창을 수계자가 따라 한다. 그래서 수계자가 암송케 한 후에 이를 설명한다.

※수계자는 3번 절을 합니다. 그리고 수계자가 무릎을 끓은 자세에서 앞으로 다가오면 수계 화상스님은 수계자에게 가사를 줍니다. 

※그 다음에 수계자는 비구 또는 사미의 도움을 받아 가사를 입는다. 


⑶사미계 수계요청 


※도움을 받아 가사를 입고 돌아오면 스님들께 3배를 올린 뒤, 아래 게송을 독송하여 사미계를 받습니다. 


아항 반떼- 사라나 실랑 야-짜-미 

존경하는 스님, 제가 삼귀의와 10계 받기를 청합니다. 


두띠얌삐 아항 반떼- 사라나 실랑 야-짜-미

두 번째도 존경하는 스님, 제가 삼귀의와 10계 받기를 청합니다.


따띠얌삐 아항 반떼- 사라나 실랑 야-짜-미

세 번째도 존경하는 스님, 제가 삼귀의와 10계 받기를 청합니다.


⑷삼귀의 삼창 


※수계 화상스님이 아래 구절을 독송하면 수계자는 이를 따라 독송합니다.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나모- 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닷사.(3번) 


그 분, 존귀하신 분, 모든 번뇌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분께 예배드립니다.(3번)


Buddhaṁ saraṇaṁ gacchāmi.

붓당 사라낭 갓차-미.

부처님을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Dhammaṁ saraṇaṁ gacchāmi.

담망 사라낭 갓차-미.

담마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Saṅghaṁ saraṇaṁ gacchāmi. 

상강 사라낭 갓차-미.

상가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Dutiyampi buddhaṁ saraṇaṁ gacchāmi.

두띠얌삐 붓당 사라낭 갓차-미.

두 번째도 부처님을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Dutiyampi dhammaṁ saraṇaṁ gacchāmi.

두띠얌삐 담망 사라낭 갓차-미.

두 번째도 담마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Dutiyampi saṅghaṁ saraṇaṁ gacchāmi.

두띠얌삐 상강 사라낭 갓차-미.

두 번째도 상가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Tatiyampi buddhaṁ saraṇaṁ gacchāmi.

따띠얌삐 붓당 사라낭 갓차-미.

세 번째도 부처님을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Tatiyampi dhammaṁ saraṇaṁ gacchāmi.

따띠얌삐 담망 사라낭 갓차-미.

세 번째도 담마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Tatiyampi saṅghaṁ saraṇaṁ gacchāmi.

따띠얌삐 상강 사라낭 갓차-미.

세 번째도 상가를 의지하여 나아가겠습니다.


수계화상: Tisaraṇa gamaṇaṁ niṭṭhitaṁ.

          띠사라나 가마낭 닛티땅.

          이것이 세 가지 의지할 대상입니다. 


수게자: Āma bhante. 아-마 반떼-. 

        잘 알겠습니다, 스님.


※계속하여 수계 화상스님이 아래 사미계를 독송하면 수계자는 이를 따라 독송합니다. 



⑸사미십계 


① Pāṇātipātā veramaṇī. 

빠-나-띠빠-따- 웨-라마니- 

모든 생명을 해치지 말라. 


② Adinnādānā veramaṇī.

아딘나-다-나- 웨-라마니- 

주지 않는 물건을 갖지 말라. 


③ Abrahmacariyā veramaṇī.

아브라흐마짜리야- 웨-라마니- 

일체 성적인 행위 하지 말라. 


④ Musāvādā veramaṇī.

무사-와-다- 웨-라마니- 

거짓되고 사나운 말 하지 말라. 


⑤ Surāmerayamajjapamādaṭṭhānā veramaṇī.

수라-메-라야 맛자 빠마-닷타-나- 웨-라마니-

정신을 어지럽게 하여 잘못을 범하게 하는 술이나 

약물들을 사용하지 말라. 


⑥ Vikālabhojanā veramaṇī.

위깔-라보-자나- 웨-라마니-

정오 이후에 음식을 먹지 말라.


⑦ Nacca gīta vādita visūkadassanā veramaṇī. 

낫짜 기-따 와-디따 위수-까 닷사나 웨-라마니- 

노래하고 춤추지 않으며 흥겹게 즐기는 장소를 가지 말라.


⑧ mālā gandha vilepana dhāraṇamaṇḍana vibhūsanaṭṭhānā veramaṇī. 

말-라- 간다 윌레-빠나 다-라나만다나 위부-사낫타-나- 웨-라마니-

꽃이나 향수로 몸을 치장하지 말라.


⑨ Uccāsayana mahāsayanā veramaṇī.

웃짜-사야나 마하-사야나- 웨-라마니- 

넓은 침상위에서 잠자지 말라.


⑩ Jatarupa rajata pataggahana veramani. 

자-따루-빠라자따 빠띡가하나- 웨-라마니- 

금, 은, 보화 등 재물에 집착하지 말라.


수계화상 : Imāni aṭṭha sikkhāpadāni samādiyāmi. 

이마-니 앗타 식카-빠다-니 사마-디야-미.(3번)

이와 같은 10계를 잘 지켜야 합니다.(3번)


수계자: Imāni aṭṭha sikkhāpadāni samādiyāmi. 

이마-니 앗타 식카-빠다-니 사마-디야-미.(3번)

이와 같은 10계를 잘 지키겠습니다.(3번) 


수계화상: Appamadena sampadetha

압빠마-데-나 삼빠-데-타

부지런히 노력하여야 합니다. 


수계자 : Āma bhante. 아-마 반떼-. 

잘 알겠습니다, 스님. 


※스님들께 삼배를 올린 후 스님들께 공양물을 올린다. 


Idaṁ me punnam nibbānassa paccayo hotu!

이당 메- 뿐낭 닙바-낫사 빳짜요- 호-뚜! 

이와 같은 공덕으로 닙바나에 이를 조건이 되기를 바랍니다. 


Imam punnappatti sabbasattanam dema! 

이망 뿐납빳띠 삽바삿따-낭 데마! 

이와 같은 공덕이 모든 중생들에게 회향되기를! 


Sadhu! Sadhu! Sadhu! 

사-두! 사-두! 사-두! 


※이것으로 사미계를 마치고 비구계 받을 준비를 한다. 


마-악~ 깎아놓은 밤톨마냥 어찌 그리 복도 많고 이쁘던지요~

빨리법명이 Moneyya(모네이야/寂黙)이며 

현재 경주 마하보디선원에서 출가자로서의 기본 생활을 학습하면서 

사마네라로 머물고 있습니다. 


_(2013’ 10. 16일 한국테라와다불교 상가 최초의 사미수계식을 참관하며...사사나 스님)_

0

INFORMATION


상호명 :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법인등록번호 : 135-321-0000777  이사장: 이용재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1길 21-33 붓다의 길따라 선원

TEL: 010-4242-5140/ 010-3181-2316 

E-MAIL: stonhi27@hanmail.net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사무국ALL RIGHTS RESERVED.


CONTACT

INFORMATION


상호명 :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법인등록번호 : 135-321-0000777

이사장: 이용재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1길 21-33 붓다의 길따라 선원




TEL:   010-4242-5140/ 010-3181-2316

E-MAIL: stonhi27@hanmail.net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사무국

ALL RIGHTS RESERVED.




© BYULZZI Corp.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byulz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