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와다불교 입문


불기 산정 기준에 대해 / 아짠 빤냐와로 마하테로

관리자
2025-02-13
조회수 50

Namo Buddhāya, Namo Dhammāya, Namo Saṅghāya.


불기는 부처님 열반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테라와다 불교에서 불기의 경우는 붓다의 탄생, 성도, 입멸이라는 세 가지 큰 사건을 기념하여 새로운 해가 시작되는 날입니다. 모두 웨사카달의 만월일에 일어난 것이라고 믿고 있는 세 가지 큰 사건의 하나인 붓다의 입멸일로부터 불기가 시작됩니다. 


1950년에 맨 처음에 제1차 세계불교도우의회(WFB)가 열리게 됩니다. 

그리고 1956년도에 그때 전 세계 불교도들이 그해가 불기 2500년이 되도록 결정했습니다. 

그때부터 전 세계에서 불기는 통일이 됐습니다. 


테라와다 방식에서는 부처님이 태어나시고 성도하시고 열반하신 날이 똑같은 날입니다. 

부처님께서 성도를 서른다섯 살에 하셨죠? 그러고 나서 45년간 법을 설했습니다. 우리가 불기 연도를 따지는 게 부처님 입멸한 때부터 따집니다. 그러니까 입멸한 해에서 45년을 더해야만이 성도한 해가 되는 거죠. 

2012년이 부처님 성도하신 지 2600년 된 해입니다. 불기는 2555년이 됩니다.


불기는 언제 한 해가 올라가게 될까? 부처님께서 입멸하신 BC 544년이 불기 원년이 됩니다. 

불기는 붓다의날 지나고, 다음날부터 한해가 올라갑니다.

왜 그럴까? 우리는 태어나면 한 살입니다. 외국은 1년이 지나야 한 살이라. 그리고 또 중요한 거는 우리는 서기를 기준으로 하는데 불교국에서는 서기를 기준으로 하지 않습니다.

[※ 서기 2024년 붓다의날 다음날(음력 4월16일)부터 2025년 붓다의날(음력 4월15일)까지는 불기 2568년입니다. 

2025년 붓다의날 다음날(음력 4월16일)부터 2026년 붓다의날(음력 4월15일)까지는 불기 2569년이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불기가 다른 이유는, 대승불교에서는 부처님이 입멸하고 나서 첫 번째 맞이한 해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부처님 맞이하고 나서 우안거를 지내고 나서 마지막 우안거를 끝낸 날로부터 불기가 바뀐다 하고 기준을 잡습니다. 그렇게 되면 음력 6월 보름에 안거결제 들어가게 되니까, 음력 9월 보름에 해가 바뀌는 것으로 옛날에는 그렇게 기준을 잡았어요. 그런데 요즘은 그 기준도 안 써요.


우리나라에서 부처님 열반일을 음력 2월 보름이라고 하는 것은, 

경전을 번역할 때, "인도에서 두 번째 달 보름에 부처님이 열반하셨다" 만약에 이렇게 경전에 기록이 돼 있다 그러면, 이 인도력을 모르는 사람들은 두 번째 달이니까 음력 2월 보름날이 부처님 열반일이 돼버리는 거라. 실제로는 거기서는 정월이 우리로 치면 음력 3월이 되는데, 그러니까 거기서는 두 번째 달이 되니까, 우리로 치면 음력 4월이 되는데. 이렇게 착각을 할 수가 있어요. 


1950년에 맨 처음에 제1차 세계불교도우의회(WFB)가 열리게 됩니다. 

그리고 1956년도에 그때 전 세계 불교도들이 그해가 불기 2500년이 되도록 결정했습니다. 

그때부터 전 세계에서 불기는 통일이 됐습니다. 

이때 결의된 것이 뭐냐 하면 "세계 불교도회의연맹은 모든 나라의 정부 최고책임자에게 인류에게 위대한 혜택을 베푼 부처님을 널리 칭송하고 존경해서 오월의 만월일을 경축일로 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주시기 바랍니다." 하면서 제1차 세계불교도회의 때 결의를 하게 됩니다.


오월의 만월일이라고 하는 것은 뭐냐 하면, 웨사카(Vesākha)라고 하는 것은 인도력으로 치면 5월달입니다. 

우리 한국의 음력으로 치면 4월입니다. 만월일이라고 하면 4월 보름이 되겠죠! 

우리 음력으로 치면 "4월 보름날을 웨사카데이로 한다" 하고 세계에 공표를 하게 되게 됩니다. 

여기서 1976년도에 각 나라마다 완전히 일치해서 "웨사카달 만월일을 부처님 오신 날로 한다" 하고 정하게 됩니다. 

그 내용이 뭐냐 하면 "본 회의에서는 웨사카 만월일을 동일한 날에 실시하는 것을 결의해서 확정한다. 우리 세계불교도회의와 이 총회에서 가결한 결의를 재차 확정하여 각 나라의 합의를 거쳐서 세계 불교도의 날로 확정한다" 하면서 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1990년 넘어와가지고 UN에서도 붓다의 날을 음력 4월 보름으로 확정을 해서 발표를 하게끔 됩니다. 

웨사카 보름날 특별한 날인데, 그날은 부처님이 태어난 날일 뿐만 아니라 성도하고 열반하신 날이기 때문에 그날을 "부처님의 날이다" 그렇게 얘기합니다. 그래서 지금도 UN에서는 용어를 「웨삭데이」 아니면 「붓다의 날」 그렇게 호칭을 하게 됩니다.


현재 전 세계에서는 4월 보름날을 부처님 오신 날로 지금 새고 있습니다. 

지금 안 따르고 있는 나라가 우리나라 정도이고, 일본도 병행을 하고 있습니다. 4월 8일하고 4월 보름하고 병행을 해서 그래서 4월 8일부터 4월 보름까지를 행사를 잡고 있고, 대만뿐 아니라 말레이시아까지도 전체가 다 4월 보름날로 잡고 있습니다. 



※ 위 법문 내용들은 아짠 빤냐와로 마하테로_붓다의길따라 선원장스님께서 설하신 법문들 가운데서 일부 내용들을 발췌하여 간략하게 재구성한 것입니다. _()_



* 출처 원문: 붓다의길따라 선원 카페

https://cafe.naver.com/buddhayana1/276


INFORMATION


상호명 :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법인등록번호 : 135-321-0000777  이사장: 이용재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1길 21-33 붓다의 길따라 선원

TEL: 010-4242-5140/ 010-3181-2316 

E-MAIL: stonhi27@hanmail.net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사무국ALL RIGHTS RESERVED.


CONTACT

INFORMATION


상호명 :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법인등록번호 : 135-321-0000777

이사장: 이용재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1길 21-33 붓다의 길따라 선원




TEL:   010-4242-5140/ 010-3181-2316

E-MAIL: stonhi27@hanmail.net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사무국

ALL RIGHTS RESERVED.




© BYULZZI Corp.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byulzzi